The Life Trajectories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ir role as grandparents in social mobility
I.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자료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현대 한국사회에서 세대 간 계층이동은 부모-자녀세대를 넘어 조부모의 영향력 아래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계층이동과 교육에 있어 1~3세대를 함께 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산업화세대를 중심으로 한 세대 간 사회이동을 이들의 교육수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008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된 <교육과 사회계층이동 조사 연구> 자료에 대해 다차원분석기법을 수행한 결과, 3세대에 걸친 사회이동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상승이동은 총 4개의 세부 유형으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산업화세대를 기점으로 한국사회의 계층화가 본격 이루어지기 시작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이들을 1세대로 한 다세대 계층이동 연구의 필요성을 환기하는 한편, 산업화세대의 조부모로서의 역할 규명을 위한 후속 연구에의 단서들을 제언하였다.
In modern Korean society, the class mobility among generations is being done under the influence of grandparents beyond the influence of par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ity of seeing the first to third generations in the class mobility and education of Korean society, and examined the social mobility among generations, mainly based on the industrialization generation, focusing on their educational level.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of < Study on Education and Social Class Mobility > conducted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in 2008. As results, the social mobility of the third generation has been progressed in the direction of overall increas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se upward mobility is divided into four types. This study shows that the stratification of Korean society began to take place in earnest, starting with the industrialization generation. And through this, argues the necessity of multi-generational hierarchical mobility research that sets the industrialization generation as the first gener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clues to follow-up studies to identify the role of grandparents of industrialization generation.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75권 0호 ~ 75권 0호 |
|
53권 1호 ~ 53권 1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4호 ~ 2021권 5호 |
|
54권 0호 ~ 54권 0호 |
|
29권 1호 ~ 29권 1호 |
|
14권 4호 ~ 14권 4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3호 ~ 2021권 3호 |
사회과학연구 |
14권 1호 ~ 14권 1호 |
|
33권 2호 ~ 33권 2호 |
|
77권 0호 ~ 77권 0호 |
|
27권 1호 ~ 27권 1호 |
|
22권 1호 ~ 22권 1호 |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
19권 0호 ~ 19권 0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
2021권 1호 ~ 2021권 2호 |
문명연지 |
21권 1호 ~ 21권 1호 |
|
128권 0호 ~ 128권 0호 |
|
37권 0호 ~ 37권 0호 |
|
52권 4호 ~ 52권 4호 |
|
21권 2호 ~ 21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