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etical Background and Prospects for the Untact Industry
Ⅰ. 서론 Ⅱ. 언택트(Untact) 산업 정의 및 서비스 분류 Ⅲ. 언택트(Untact) 서비스 확산의 이론적 배경 Ⅳ. 기술적 함의 및 전망 Ⅴ.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언택트 산업’이 무엇인지를 정리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이론적 배경과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우선 아직 학술적으로 명확하게 정의되어있지 않은 ‘언택트 산업’을 정의하고 관련서비스와 기술 및 주요 기업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 언택트 서비스 확산의 이론적 배경을 1) 정부의 강력한 봉쇄ㆍ격리 정책, 2) 언택트 기술에 대한 사회 구성원들의 빠른 수용, 3) 건강과 안전에 대한 인간의 욕구와 가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후 5G 시대의 도래로 인한 기술적 함의와 향후 빅뱅 효과를 가져올 언택트 서비스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결론을 맺었다. 그 동안의 언택트 서비스 관련 연구는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특정 산업이나 특정 고객군을 대상으로 하는 니치 서비스 측면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단숨에 전세계인을 대상으로 급부상한 언택트 산업이 향후에도 주류 경제현상으로 자리잡을 수밖에 없는 이론적 배경과 함께 5G 시대의 기술적 특징을 분석하여 언택트 산업의 전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 가속화 및 언택트 서비스확장을 꾀하는 많은 기업 들과 ‘한국형 디지털 뉴딜’ 정책의 핵심 아이템으로 언택트 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정책 당국자들에게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ntact industry' which is rapidly emerging as a new growth strategy in the post-corona era, and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ospects of this phenomenon.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it defines the 'untact industry,' which has not yet been clearly defined academically and looks at the related services, technologies, and major companies involved. Nex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oliferation of untact services is explained by 1) the government's intense lockdown and shutdown policies, 2) the rapid adoption of untact technology among individual members of the society, and 3) human needs and values for health and safety. Also, the paper considers the technical implications of the 5G era and the prospects for new untact services that will lead to a big-bang disruption in the near future.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untact industry, which has not undergone much academic research yet, and by explaining why the untact industry has become a mainstream economic phenomenon and why it will continue to dominate in the 5G era. The paper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many companies seeking to accelerate digital transformation and develop new untact services as well as to policymakers who want to foster the untact industry as a core element of the ‘Korean New Deal’ policy.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우정정보 |
2019권 1호 ~ 2020권 4호 |
KEFe매거진 |
76권 0호 ~ 77권 0호 |
|
26권 1호 ~ 26권 1호 |
|
34권 4호 ~ 34권 4호 |
지방재정 |
2020권 6호 ~ 2020권 6호 |
현안연구 |
2018권 1호 ~ 2019권 1호 |
ICT Industry Outlook of Korea |
2019권 0호 ~ 2020권 0호 |
정책연구 |
2018권 1호 ~ 2019권 9호 |
기본연구 |
2018권 1호 ~ 2019권 9호 |
텔코 저널 |
8권 0호 ~ 8권 0호 |
연구총서 |
114권 0호 ~ 114권 0호 |
KEFe매거진 |
73권 0호 ~ 75권 0호 |
|
42권 4호 ~ 42권 4호 |
|
14권 4호 ~ 14권 4호 |
|
20권 2호 ~ 20권 2호 |
|
33권 2호 ~ 33권 2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
38권 2호 ~ 38권 2호 |
|
29권 4호 ~ 29권 4호 |
|
21권 4호 ~ 21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