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the Sunday Shopping Regulation on Businesses : An Empirical Analysis of Credit Data
10.36354/KJIO.27.3.1
I. 서론 II. 선행연구 III. 데이터 및 분석모형 IV. 실증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신용카드매출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형마트 의무휴업 규제가 주변상권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대형마트 인근 중소서비스업체를 대상으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과 정상영업일의 매출액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형마트 의무휴업은 인근 중소서비스업체의 매출액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중소서비스업체의 의무휴업일 매출은 정상영업일에 비해 약 6.1% 높았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업종간 대체성에 따라 상이했다. 대형마트와 대체성이 높은 슈퍼마켓의 경우 의무휴업일의 매출이 17.0%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에 적응한 소비자의 구매행태 변화, 온라인쇼핑의 영향 등에 따라 규제 효과가 변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도별로 구분하여 그 효과를 추정했다. 그 결과 매출 증대 효과는 2016년 18.6%에서 2017년 14.5%로 축소되었다.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mandatory Sunday store closing” to protect independent retailers, which bans the Large Discount Chains(LDC) open the stores on the 2nd and 4th Sundays of the month. This paper utilizes a dataset of credit card accounts to analyze the positively effect of the regulation on the sale of small businesses located closely to the LDC. We attempt to compare the sales of those businesses on mandatory closing Sunday and opening Sunday. The results exhibit significantly positive regulatory effects on the sales of small businesses. We find that the credit card accounts of small businesses on closing Sunday increased 6.1% compared with opening Sunday. Among the type of business, this effect is most remarkable in the supermarkets in which the sales increased 17.0%. In addition, we compare the sales change of small businesses over the three years and find that regulatory effects have become weaker over time (18.6% in 2016 and 14.5% in 2017).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저널 물 정책·경제 |
32권 0호 ~ 32권 0호 |
|
29권 5호 ~ 29권 5호 |
공공기관 현황편람 |
2019권 0호 ~ 2019권 0호 |
|
31권 2호 ~ 31권 2호 |
|
21권 3호 ~ 21권 3호 |
|
24권 3호 ~ 24권 3호 |
|
16권 3호 ~ 16권 3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478권 0호 ~ 480권 0호 |
손해사정연구 |
20권 0호 ~ 20권 0호 |
|
48권 3호 ~ 48권 3호 |
재정포럼 |
280권 0호 ~ 280권 0호 |
|
12권 3호 ~ 12권 3호 |
주간금융브리프 |
28권 19호 ~ 28권 20호 |
해양한국 |
2019권 11호 ~ 2019권 11호 |
|
33권 3호 ~ 33권 3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7권 1호 ~ 17권 1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7권 2호 ~ 17권 2호 |
이슈리포트 |
2019권 3호 ~ 2019권 4호 |
|
22권 3호 ~ 22권 3호 |
보험연구원 연구보고서 |
2019권 2호 ~ 2019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