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terminants of Youth Reemployment
1. 들어가며 2. 주요 선행연구 3. 분석 자료 및 방법 4. 분석 결과 5. 나가며
청년패널(YP2007)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 재취업에 대한 정책적 결정 요인을 살펴본 결과, 직장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과 주된 구직 경로로 공공취업알선기관을 이용한 경우 재취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업급여의 수급은 미취업 탈출 가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업급여는 퇴직 또는 실직 경험자의 빈곤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실업급여의 소득보장을 통한 빈곤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직업교육훈련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경험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I410-ECN-0102-2018-300-000350474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7권 1호 ~ 7권 1호 |
|
68권 1호 ~ 68권 1호 |
|
48권 1호 ~ 48권 1호 |
|
52권 1호 ~ 52권 1호 |
|
41권 1호 ~ 41권 1호 |
|
53권 0호 ~ 53권 0호 |
|
26권 1호 ~ 26권 1호 |
Research in Brief |
2021권 3호 ~ 2021권 3호 |
국제사회보장리뷰 |
16권 0호 ~ 16권 0호 |
보건·복지 Issue&Focus |
399권 0호 ~ 399권 0호 |
|
23권 1호 ~ 23권 1호 |
|
18권 1호 ~ 18권 1호 |
보건·복지 Issue&Focus |
398권 0호 ~ 398권 0호 |
보건복지포럼 |
293권 0호 ~ 293권 0호 |
아동가족치료연구 |
19권 0호 ~ 19권 0호 |
|
11권 1호 ~ 11권 1호 |
|
9권 1호 ~ 9권 1호 |
|
37권 1호 ~ 37권 1호 |
보건복지포럼 |
292권 0호 ~ 292권 0호 |
Research in Brief |
2021권 1호 ~ 2021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