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s Response and Regional Cooperation to Solve Fine Dust Problem
Ⅰ. 서론 Ⅱ. 미세먼지 문제와 관련한 중국의 대응 Ⅲ. 미세먼지와 관련한 지역갈등과 협력의 문제점 Ⅳ. 결론 : ‘인지공동체’구축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해법 참고문헌
환경문제는 특정한 국가의 영토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 곳에서 발생된 오염은 점차 주변으로 확산되고, 심지어 국가 간의 경계를 뛰어넘어 주변국가들에 영향을 미치곤 한다. 산성비, 황사, 황해오염 등이 동북아지역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환경문제, 즉 월경성 오염문제에 해당한다. 특히 최근 심각성이 드러나기 시작한 중국발 미세먼지 문제는 월경성 대기오염 문제의 하나로서, 그 책임문제를 둘러싸고 동북아의 새로운 갈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 과거 동북아 환경협력체제의 형성에 소극적이던 중국은 최근 국가의 부상에 따른 ‘책임 있는 강대국’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력 증대에 대한 대응, 역내 오염제공국이라는 오명에서의 탈피, 환경문제 해결을 통한 친환경산업의 육성과 지속가능한 발전 모색 등의 차원에서 역내 환경협력에 대한 전향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속력있는 협정의 체결에는 여전히 부정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과학적 불확실성’이 그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와 같은 월경성 오염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국가 간 협력의 주요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과학적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방안으로서 역내다양한 행위자들 간 복합적 네트워크의 구축과 함께 동북아 환경협력체제 형성의 관건이 되는 ‘인지공동체’의 측면에서 새로운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Environmental problems are not limited in the territory of a certain country. The pollutant, which is generated in one point of a certain country, gradually spreads to its surroundings and has an effect on neighboring countries jumping over boundaries. Acid rain, yellow dust and the Yellow Sea pollution make up the transboundary pollutions in Northeast Asia. In particular, fine dust as a transboundary pollution which has been continuously generated in China, is becoming a new conflict factor. However, this transboundary pollution is also functioning as an agenda which is promoting regional cooperation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China, which has taken a passive stance in constructing the environmental regime, is turning to a positive stance. Because it wants to cope with international pressure to play the role of “responsible big power”, to escape from a dishonor of regional polluter, and to find a way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promoting green industries. Nevertheless, it still adheres to a negative stance on a binding agreement, because of “scientific uncertainty”. In this regard, this paper discusses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 complex cooperative network between various regional actors and “epistemic communities” which is a matter of building an environmental regime in Northeast Asia to solve fine dust problem.
ECN-0102-2015-900-002206531
I410-ECN-0102-2015-900-002206531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122권 0호 ~ 122권 0호 |
정치와 평론 |
23권 0호 ~ 23권 0호 |
통일한국 |
421권 0호 ~ 421권 0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전략논단 |
28권 0호 ~ 28권 0호 |
|
14권 2호 ~ 14권 2호 |
|
33권 2호 ~ 33권 2호 |
북한연구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
2018권 0호 ~ 2018권 0호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정책리포트 |
32권 0호 ~ 32권 0호 |
|
23권 2호 ~ 23권 2호 |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
16권 1호 ~ 16권 2호 |
|
11권 2호 ~ 11권 2호 |
접경지역통일연구 |
2권 2호 ~ 2권 2호 |
|
8권 2호 ~ 8권 2호 |
|
14권 2호 ~ 14권 2호 |
|
61권 4호 ~ 61권 4호 |
|
22권 2호 ~ 22권 2호 |
|
35권 0호 ~ 35권 0호 |
|
14권 0호 ~ 14권 0호 |
|
10권 2호 ~ 10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 간행물: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구 문화산업과 법) 11권1호
권호 다운로드시 해당 논문을 포함한 권호 전체 논문이 다운로드됩니다.
(40개 이상일 경우 1~40개까지)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