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ing Children to Care: An Exposition of Feminist Early Childhood Education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이 글은 페미니즘과 유아교육의 관계를 해방적 페미니즘관점에서 보다는 근본적 페미니즘의 관점에 서서 이해하려 시도하였다. 근본적 페미니즘 중에서도 정을 `위한` 교육의 관점이 정이 `있는` 교육의 관점보다 페미니즘의 유아교육에 대한 기여를 한층 더 분명히 하고 `근본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논의 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정을 바탕으로 하는 페미니즘적 교육은 단순히 남성중심의 교육의 결과 위축된 여성적 특성을 보완하려는 차원을 넘어서서 하나의 일반 교육철학으로 자리 잡을 수도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feminism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eminist paradigm is the "radical" variety rather than the "liberal" one. It is more concerned with feminist dimensions of human functioning rather than liberation of women from male-dominated social practices. There are two implications of radical feminism on education: to teach with care and to teach to care. The argument of this article stresses teaching to care. Young children should be taught by teachers with care, of course; but, more importantly, they may have to be taught to care for something themselves, including people, other living creatures, the environment, and ideas. This feminist ethics of care is not simply complementary to that of male-oriented objectivist justice; rather, at least according to Noddings, it purports to encompass a general philosophy of education covering all aspects of curriculum.
ECN-0102-2009-370-004269682
I410-ECN-0102-2009-370-004269682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51권 0호 ~ 51권 0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18권 1호 ~ 2018권 1호 |
|
23권 3호 ~ 23권 3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소식 |
71권 0호 ~ 71권 0호 |
|
62권 1호 ~ 62권 1호 |
지방교육경영 |
21권 1호 ~ 21권 3호 |
현대교육연구(구 중등교육연구) |
30권 2호 ~ 30권 2호 |
|
17권 4호 ~ 17권 4호 |
|
24권 6호 ~ 24권 6호 |
|
30권 3호 ~ 30권 3호 |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
3권 2호 ~ 3권 2호 |
|
39권 2호 ~ 39권 2호 |
|
19권 4호 ~ 19권 4호 |
|
29권 4호 ~ 29권 4호 |
|
40권 4호 ~ 40권 4호 |
D-수학교육연구 |
21권 1호 ~ 21권 1호 |
|
37권 6호 ~ 37권 6호 |
|
37권 5호 ~ 37권 5호 |
|
66권 4호 ~ 66권 4호 |
|
24권 4호 ~ 24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 간행물: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구 문화산업과 법) 11권1호
권호 다운로드시 해당 논문을 포함한 권호 전체 논문이 다운로드됩니다.
(40개 이상일 경우 1~40개까지)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